본문 바로가기

Git

Git 공부

깃과 깃 용어 정리

 

 Git -> 버전관리, 협업, 백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

 Github -> git repository를 관리 할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(저장소)

 Git Repository -> remote repository, local repository로 나뉜다.

 remote repository -> 원격 온라인 서버상의 저장소

 local repository -> 내 개인 컴퓨터의 저장소

 fork -> 다른 repositoy를 나의 repository로 가져올수 있다.

 git init -> 해당파일을 깃의 관리를 받겠다고 선언하는 명령어 이다.

 브랜치 이름[master] -> git config --global init defaultBranch 변경명 을 입력해주면 영구적으로 브랜치 이름을 바꿀수

 있다.

 git  remote add 별칭 연결할 repo 주소 -> 내 local repo 와 remote repo를 연결 시켜준다.

 fetch -> remote에서 내려 받을때.

 tracked -> unmodified, modified, staged로 나눌수 있다.

   unmodified -> 파일 수정이 git에 의해 감지가 되지 않았을때.

   modified -> 파일 수정이 git에 의해 감지가 되었을때.

   staged -> 파일이 staging area에 존재하는 상태.

 

SSH 등록

명령어 ssh keygen 명령어 입력 -> ~/.ssh./ -> id-rsa(개인키), id-rsa.pup(공개키) 중 공개키를 깃허브 세팅에서 등록해 주기

 

더 공부해야하는 내용들

 아직 충돌이 났을때 대처하는것이 조금 미숙하고,

 브랜치 생성과, 작업후 브랜치 merge 부분을 공부 해야할 것 같다